오늘 주제는
이방원 가계도!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세종대왕) 포함
이방원 아들들과 딸들은 몇 명?
신도비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인데요
사실 예전에 비슷한 주제의 글을 올릴 때는
한자 -> 한글 로 바꾸면서
고생스럽게 알아봤잖아요?
근데 제가
조선왕조실록을 쭉 읽으면서
제대로 한글로
이방원 가계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을 찾았습니다!
바로
태종실록 36권, 태종 18년 11월 8일
갑인 6번째기사 1418년 명 영락(永樂) 16년
예문관 대제학 변계량이 찬한 태종의 신도비문
을 보는 것인데요
그럼 오늘도 힘차게
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Go go go ~
이방원 가계도!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포함
이방원 아들들과 딸들은 몇 명?
신도비문에서 찾아보자!
먼저 신도비란
죽은 사람의 생전의 행적을 기록하여
묘 앞에 세우는 비라고 합니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
이방원의 가계도!
즉 이방원의 여인들과
이방원의 아들들 딸들의 이름이 있는!

부인(婦人 = 원경왕후 민씨)은
모의(母儀)가 지극하였으니,
4남 4녀를 낳았는데,
우리 전하는 세째이다.
우리 전하는 세째이다
라는 걸 보면
태종실록이라고는 하지만
당시의 왕은 충녕대군
즉 세종대왕 이도란 것을 알 수 있구요
장자는 곧 제(禔)이고, 다음은 보(𥙷)이니
효령 대군(孝寧大君)에 봉해졌고,
다음은 종(褈)이니
성녕 대군(誠寧大君)에 봉해졌으나
먼저 졸(卒)하였다.
우선은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의 네 아들들!
장자가 양녕대군
둘째가 효령대군
그리고 셋째가 세종대왕인데
앞에서 먼저 언급을 했고
그 다음이 성녕대군인데
일찍 세상을 떴다고 하네요
장녀(長女)는 정순 공주(貞順公主)이니,
청평 부원군(淸平府院君)
이백강(李伯剛)에게 시집갔으나
같은 이씨(李氏)가 아니다.
다음은 경정 공주(慶貞公主)이니,
평양 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에게 시집갔으며,
다음은 경안 공주(慶安公主)이니,
길창군(吉昌君) 권규(權跬)에게 시집갔으나
또한 먼저 졸(卒)하였다.
다음은 정선 공주(貞善公主)이니,
의산군(宜山君) 남휘(南暉)에게 시집갔다.
그리고 순서대로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가 누구에게 시집을 갔는지
나와 있습니다
의빈(懿嬪) 권씨(權氏)가
1녀를 낳았는데,
정혜 옹주(貞惠翁主)이니,
운성군(雲城君) 박종우(朴從愚)에게
시집갔다.
소혜궁주(昭惠宮主) 노씨(盧氏)가
1녀를 낳았는데
아직 어리다.
그리고
원경왕후 민씨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후궁으로 쭉 이어지는!
후궁과 그 자녀의 이름도
신도비문에 있음을
알 수 있네요.
또한 너무 어린 자녀의 이름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
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신녕 궁주(信寧宮主) 신씨(辛氏)가
3남 7녀를 낳았는데,
장남 인(䄄)이 공녕군(恭寧君)에
봉해졌으며, 나머지는 아직 어리다.
장녀 정신 옹주(貞信翁主)는
영평군(鈴平君) 윤계동(尹季童)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정정 옹주(貞靜翁主)이니
한원군(漢原君) 조선(趙璿)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숙정 옹주(淑貞翁主)이니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에게
시집갔고,
나머지는 모두 아직 어리다.
다음은
신녕궁주 신씨인데요
3남 7녀를 낳았다고 합니다!
역시 이름이 전부 나오는 게 아니라
3남 중 1남
7녀 중 3녀까지만 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로!
그래도
몇 명이라도 나오는구나 했는데
아예 아직 어리다 로만
처리되는 경우도!
궁인(宮人) 안씨(安氏)가
1남 3녀를 낳았는데,
모두 아직 어리다.
김씨(金氏)가 1남을 낳았는데,
비(裶)이니 경녕군(敬寧君)에 봉해졌다.
고씨(高氏)가 1남을 낳았고,
최씨(崔氏)가 1남1녀를 낳았고,
이씨(李氏)가 1남을 낳았고,
김씨(金氏)가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아직 어리다.
이런 식으로
아예 이름도 안 오르고
모두 어리다 로 처리가 되는!
신도비문에 나온
여인 / 자녀만 계산해 봤을 때
이방원 여인 : 열 명
아들들 : 열 두 명
딸들 : 열 여덟 명
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문단이 바뀌면서
자녀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해주는데요
우리 중궁(中宮) 공비(恭妃) 심씨(沈氏)는
문하 시중(門下侍中) 휘(諱)
심덕부(沈德符)의 네째아들
심온(沈溫)의 딸인데,
4남 2녀를 낳았으니,
장남은 곧 세자(世子)이고,
나머지는 모두 아직 어리다.
이번엔 태종 가계도가 끝나고
세종대왕 가계도로 이어지는!
소헌왕후일 텐데
아직은 중궁 공비 심씨로 나와 있고
심온의 딸이며
4남 2녀를 낳았는데
세자 이름도 안 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로!
양녕 대군(讓寧大君)이
김한로(金漢老)의 딸에게 장가들어
3남 1녀를 낳았으나 모두 아직 어리다.
효령 대군(孝寧大君)이
전 판중군도총제부사(判中軍都摠制府事)
정역(鄭易)의 딸에게 장가들어
4남을 낳았는데, 모두 아직 어리다.
성녕 대군(誠寧大君)이
전 전라도 도관찰사(全羅道都觀察使)
성억(成抑)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나
자식이 없다.
그리고 양녕대군이 3남1녀를
효령대군이 4남을
그리고 성녕대군은
자식이 없음을 밝히면서
모두 아직 어려서
역시 이름 언급을 안 하는!
정순 공주(貞順公主)가 1녀를 낳았는데,
용양 시위사(龍驤侍衛司) 호군(護軍)
이계린(李季疄)에게 시집갔으나,
또한 같은 이씨가 아니다.
경정 공주(慶貞公主)가 4녀를 낳았는데,
장녀는 돈녕부 승(敦寧府丞)
안진(安進)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유학(幼學) 김중암(金仲淹)에게
시집갔고, 나머지는 아직 어리다.
경안 공주(慶安公主)가 2남을 낳았는데,
장남은 한성 소윤(漢城少尹)
정연(鄭淵)의 딸에게 장가들었고,
다음은 아직 어리다.
정선 공주(貞善公主)가 2남 1녀를 낳았는데,
모두 아직 어리다.
그리고 원경왕후 민씨의
네 딸들!
즉 네 공주 분들인데
시집가고 장가 간 자녀들만 나오고
나머지는 모두 어리다 로!
아.... 시집 가고 장가를 가야
어리다는 소리를 안 듣는 거구나..
그럼 나는?
계속 보도록 하겠습니다!
경녕군(敬寧君)이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관(金灌)의 딸에게 장가들어
2남을 낳았으나,
모두 아직 어리다.
공녕군(恭寧君)이 병조 참판(兵曹參判)
최사강(崔士康)의 딸에게 장가들어
2녀를 낳았으나, 모두 아직 어리다.
비문이 작성된 때에
장가 가고 시집 간
그런 자녀들 이름만
나오는 건지...
네 명의 대군
네 명의 공주 다음으로는
경녕군 과 공녕군이 나오고
끝입니다!
이런 식으로
누구의 자식이
누구에게 시집 / 장가를 갔는지
알 수 있는 기록이 있었던!
그리고 이 기록이
다른 자료에 비해
얼마나 정확한가
비교를 좀 해보자면
이방원 가계도!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포함
이방원 아들들과 딸들은 몇 명?
다른 자료에서 찾아보자!
블로거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은
네이버 검색창에!
그래서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확인을 해봤는데요

이방원 가계도!
부인 : 10명
아들 : 12명
딸 : 17명
인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실록은 딸이 18명으로 되어 있는데..
어느 부분이 다른 거지?
아...
실록엔 궁인 안씨가
1남 3녀를 낳았다고 되어 있는데
지식백과에서는
선빈 안씨가
1남 2녀를 낳은 것으로...
뭐가 맞는 거죠?
다른 자료 다시 한 번만!

이번엔 다른 자료인데요
이방원 여인이 10명인 줄 알았는데
원경왕후 포함해서
모두 19명입니다!
공식 기록은 10명
최대 기록은 19명으로!

그리고
이방원 아들들
즉 대군 과 군을 합친 왕자는 모두
12명이 공식기록이지만
실록의 기록을 바탕으로 하면
모두 18명까지
나와 있다고 합니다!
어린 나이에 죽은
왕자들이 있었던 거죠!

이건 공주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요
선빈 안씨의 자녀가 1남 3녀인 줄 알았는데
2남 2녀로 나와 있는...
궁녀 안씨가
선빈 안씨 맞습니다!
선빈 안씨가
궁인으로 입궁했다가
후궁이 된 케이스였거든요
이 부분이 미심쩍어서
제가 실록을 다시 봤는데요

조선왕조실록 선원계보도
실록에는 이렇게
안씨 와 선빈 안씨가 따로 나오고
안씨의 소생이
1남 2녀
선빈 안씨의 소생이
1남으로 나오는데
네이버 동아백과에서는 선빈 안씨
소생으로 1남 2녀를
wiki 에서는
선빈 안씨 소생으로 2남 2녀를!
근데 익녕군 같은 경우는
태종의 유복자래요!
그래서 신도비문 당시에는
모르지 않았나 싶고
딸이 있기는 했는데
혹시 일찍 죽은 건 아닐까
그런 생각이 드네요...
너무 일찍 죽으면
이름도 받지 못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그래서
1남 3녀 -> 2남 2녀가 된 것이 아닐까....
자녀수 변동이 없이..
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럼 딸이 한 명이 안 맞아..
라는 생각으로 실록을 다시!

네이버 태종 가계도
저는 실록을 보면서
일일이 한자를 옮겼었는데..
네이버에 자료가 있더라구요...
선빈 안씨만이 아니라
신빈 신씨도
신도비문에는 3남 7녀라고 되어 있는데
선원 계보도에는 6녀만 기록이 된!
즉
신빈 신씨
3남7녀 -> 3남6녀
선빈 안씨
1남 3녀 -> 2남2녀
가 되어
결국 아들 12명
딸 17명은
변함이 없는 걸로!
이렇게 계산이 되는 거네요!
아....
복잡해 ㅠㅠ

오늘은 이방원 가계도를 주제로
신도비문 외
다른 자료들을 살펴보면서
양녕대군, 효령대군, 충녕대군 (세종대왕) 포함
이방원 아들들 딸들 정확히 몇 명인가?
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너무 어린 나이에 죽은....
그 친구들을 제외하면
공식 기록은
태종 가계도
이방원 부인 : 열 명
이방원 아들들 : 열 두 명
이방원 딸들 : 열 일곱 명
이 되겠습니다!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레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교육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 가계도, 문종 가계도 : 부인 아들들 딸들 에서 며느리 폐휘빈 김씨, 폐순빈 봉씨 (+ 소쌍) (1) | 2025.07.06 |
---|---|
양녕대군 어리 이야기가 폐세자에 기여한 바와 충녕대군과의 갈등을 조선왕조실록, 드라마 태종 이방원을 보며 비교를! (+ 라틴어 명언) (1) | 2025.07.06 |
조선 왕 계보와 이방원 가계도를 보며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되는지 조선왕조실록에서! (0) | 2025.07.06 |
태종 이방원이 원경왕후 민씨 가문 형제를 어떤 죄목으로 죽였는가? 조선왕조실록으로 한자공부 (2) | 2025.07.06 |
[역사 공부] 영조 정조 가계도 및 공주, 옹주, 군주, 현주, 마마, 마노라, 자가, 마마님 뜻 호칭 차이 구분! (feat. 옷소매 붉은 끝동) (3)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