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일상

조선 왕 계보와 이방원 가계도를 보며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되는지 조선왕조실록에서!

반응형

 

오늘의 주제는

조선 왕 계보와

이방원 가계도를 보면서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되는지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보는 건데요

 

 

제가 태종 이방원 드라마 시작할 때부터

조선왕조실록을 계속 보고 있는!

 

 

블로거가 알아야 할 모든 정보는

네이버 검색에!

조선 관련한 모든 정보는

조선왕조실록에!

 

 

라는 생각으로

정말 저 답을

실록에서 찾을 수 있는지

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차게!

Go go go ~

 

 

 

 

 

조선 왕 계보

조선왕조실록에서 찾기!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메인 화면인데요

 

 

태조 - 철종까지가 조선왕조

고종 - 순종까지가 대한제국

 

 

그리고 저 순서를 정리하면

그대로 조선 왕 계보

되겠습니다!

 

 

제가 정리를 한 번?

 

 

* 조선 왕 계보

 

1대 태조(1392년~) : 07년

2대 정종(1399년~) : 02년

3대 태종(1401년~): 17년

4대 세종(1418년~) : 32년

5대 문종(1450년~) : 02년

6대 단종(1452년~) : 03년

7대 세조(1455년~) : 13년

8대 예종(1468년~) : 01년

9대 성종(1469년~) : 25년

10대 연산군(1494년~) : 12년

11대 중종(1506년~) : 39년

12대 인종(1545년~) : 01년도 못함

13대 명종(1545년~) : 22년

14대 선조(1567년) : 41년

15대 광해군중초본(1608년~) : 15년

16대 인조(1623년~) : 26년

17대 효종(1649년~) : 10년

18대 현종(1659년~) : 15년

19대 숙종(1674년~) : 46년

20대 경종(1720년~) : 04년

21대 영조(1724년~) : 52년

22대 정조(1776년~) : 24년

23대 순조(1800년~) : 34년

24대 헌종(1834년~) : 15년

25대 철종(1849년~) : 14년

26대 고종(1863년~) : 44년

27대 순종(1907년~) : 03년

순종부록(1910년~)

 

 

조선왕조실록

 

 

그리고 우리는 이 조선 왕 계보를 보면서

누가 가장 짧게

혹은 누가 가장 오래

왕좌에 있었는지도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방원 가계도는?

이것도 조선왕조실록에서

알 수 있을까요?

 

 

이방원 가계도!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보기!

 

 

 

 

태종실록 총서

 

 

태종실록 총서의

맨 앞부분인데요

 

 

태종의 휘는 이방원이요 (이름 나옴)

태조의 다섯 째 아들이요

어머니는 신의왕후 한씨이다!

 

 

 

이처럼 휘 와

그리고 선대의 몇 번째 아들이었는가

그리고 어머니는 누구인가

를 알 수 있습니다!

 

 

즉 적어도 태조는

아들이 다섯 이상은 되었다!

라는 계산이!

 

 

그리고

 

 

 

 

세종실록 총서

 

 

세종실록 총서!

즉 태종의 뒤를 잇는 왕에 대한 기록을 보면

 

 

세종의 휘는 도요 (이도)

태종공정대왕의 셋째 아들이요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이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태종의 아들은 적어도 셋 이상이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세종인 충녕대군이 원래 세자가

아니라는 부분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

 

 

문무백관들이

세자 이제가 잘못이 많다 하여

글을 올려 폐하기를 청하매

 

 

 

여기서 이제는?

바로 태종의 첫째 아들인

양녕대군이었을 것이고

18년 무술 6월의 글을 보면

이제가 어떤 잘못을 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원래는

제의 아들로 왕위를 이으려 했다는

사실까지도!

 

 

근데 여기서 잠깐!

이방원 가계도를 알 수 있는 법은

이걸로 끝인 건가요?

 

 

 

조선왕조실록 - 부가열람

- 선원계보도 에서

태종을 검색하면

이방원 가계도를 알 수 있는데요

 

 

단 한자로 나옵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한자 -> 한글로 변환하면

 

 

태종[제 3대 왕]

 

1) 원경왕후

 

양녕대군 제

효령대군 보

세종[제 4대 왕]

성녕대군 중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정선공주

 

 

2) 효빈金씨

경령군 비

 

3) 신빈신씨

함령군 인

온령군 정

근령군 농

 

정신옹주

정정옹주

숙정옹주

숙령옹주

숙경옹주

숙근옹주

 

4) 안씨

혜령군 지

 

소숙옹주

경신옹주

 

5) 숙의최씨

희령군 타

 

6) 최씨

후령군 간

 

7) 선빈안씨

익령군 치

 

8) 의빈권씨

정혜옹주

 

9) 신빈 신씨

소선옹주

 

10) 소빈노씨

숙혜옹주

 

11) 김씨

숙안옹주

 

12) 이씨

숙순옹주

 

조선왕조실록 : 선원계보도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는데

실록에 의하면

처첩 합쳐서 총 12명

아들은 대군 군 합쳐서 12명

딸은 공주 옹주 합쳐서 17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많은 걸로 알고 있는데

우선은 이렇게만 나와 있는!

 

 

그리고 이제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되는가?

이것도 실록에서 찾아보기로!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아보기!

 

 

아까 봤던

태종실록을

다시 이어서 보자면

 

 

 

 

태종실록

 

태종 18년 6월에

세자 이제를 폐하도록

의정부 삼공신 육조 등이

상소를 올리게 됩니다!

 

 

"세자 이제(李禔)가 간신(奸臣)의 말을 듣고

함부로 여색(女色)에 혹란(惑亂)하여

불의(不義)를 자행(恣行)하였다.

 

만약 후일에 생살 여탈(生殺與奪) 의 권력을

마음대로 한다면 형세를 예측하기가 어려우니,

여러 재상(宰相)들은 이를 자세히 살펴서

나라에서 바르게 시행하는 것이 마땅하다."

 

 

 

세자 이제가 폐위되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간신의 말을 들었다!

2. 여색에 혹란하였다!

 

 

외척을 두려워하는 태종의 입장에서

간신의 말을 듣는

세자 이제

즉 양녕대군이

어떻게 보였겠는가?

 

 

이제가 왕이 되면

민씨 가문 숙청이

도로아미타불이 되는 게 아닌가

라는 두려움이 있었을 수도 있는!

 

 

그래서 여색에 혹란한 부분보다

저 부분이 더 크게 작용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구요

 

 

결국 세자 이제는 폐위가 되고

삼남인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됩니다!

 

 

 

 

태종실록

 

 

 

원래는

세자의 아들로 삼으려 하였으나

신하들이

'어진 사람을 찾으시라'

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되는데

 

 

 

 

충녕 대군(忠寧大君)은 천성(天性)이 총명하고

민첩하고 자못 학문을 좋아하여,

비록 몹시 추운 때나 몹시 더운 때를 당하더라도

밤이 새도록 글을 읽으므로,

나는 그가 병이 날까봐 두려워하여

항상 밤에 글 읽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나의 큰 책(冊)은 모두 청하여 가져갔다.

 

 

어진 이를 찾으시라는 말에

이렇게 답을 하십니다!

당신의 아들인 충년대군이

문(文) 을 사랑하는 것에

높은 점수를 주신 게 아닌가...

 

 

그래서 자신이 닦아 놓은 터에

이 아들이라면

꽃을 피울 수 있겠구나

이런 기대도 하지 않았을까

잠깐 상상을...

 

 

 

 

오늘은 이렇게

조선왕조실록을 보면서

 

 

1. 조선 왕 계보

2. 이방원 가계도

3. 이방원 아들들 중 누가 왕이 되는가

 

 

를 살펴 보았는데요

확실히

조선왕조실록에서

모든 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레미의 실록 사랑은

앞으로도 쭉 이어질 듯!

 

 

감사합니다!

레미였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