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장례식장 예절에 대해서
좀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제가 레미로
이미 문상 인사말
관련 포스팅을 올렸는데
그걸 보신 이웃님께서
댓글을 주셨습니다!

제가 다룬 부분은
문상 인사말!
즉 문상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로 한자공부를
하는 내용이었었는데
절 하는 법!
헌화방법!
이런 걸 궁금해 하시는구나
댓글을 통해서 알게 된!
근데 레미는 어학만!
그래서 이 부분은 레미뷰가 책임지고
확실하게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 예절
- 1. 기독교식 문상예절
-- 헌화방법, 공수법, 절 하는 법

오늘도 자료는
장례식장 홈페이지 자료들을
종합해서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기독교식 문상예절인데요
조문객은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고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의 영정 앞에서 헌화한 후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를 숙여
잠시동안 묵념을 드리고
그 후 상주와 맞절을 하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리는
순서라고 합니다.
목례 - 헌화 - 묵념 - 맞절 - 위로 인사말
이 순서가 되는 거겠죠?
이때
꽃은 어떻게 드려야 하고
절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저도 이 부분을 몰라서
좀 찾아봤거든요
1. 헌화방법
헌화 방법은
제가 두 곳을 살펴봤는데
먼저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정보에 따르면
평소에 물건을 전 할때처럼
받는 사람이 받기 쉽도록
꽃의 머리부분이 드리는 사람을 향하게 하고
꽃대 줄기가 고인 쪽을 향하게 드려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국립중앙의료원 정보를 보면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 및 기도를 하면 된다고 하는데
두 그림이 모순이 되죠?
그래서 전 그냥
다른 사람이 하는 거 보고 따라하기로 했습니다!
그게 가장 안전한 것 같아요...
아니면 상주에게 물어볼 수 있다면
그게 가장 좋을 것 같은!
실수도 안 할 수 있고!
정보가 하나로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선
이게 가장 나은 방법이 아닌가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도 분분한 걸로...
그리고 제가 잠깐
시뮬레이션하고 있었던..
오케이!
둘 다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언니 할아버님이 돌아가셨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토요일날
장례를 하신다고 해요....
그래서 저도 가게 될지는 모르겠는데
우선은 알아두는 걸로....
그리고 두 번째는
공수법!
2. 공수법
보통 우리가 절을 할 때나 예의를 표할 때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하고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되잖아요?
근데
흉사인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남자가 오른손이 위로 가고
여자가 왼손이 위로 가게 된답니다.
그리고 흉사라는 건
사람이 돌아가셨을 때..
지금과 같은 경우겠죠?
제사 때는 아니구요!
여기서
조기 다는 거 생각했어요!
슬프면 뭔가 좀 달라야 하는 거잖아?
국기를 기폭만큼 내려다는 조기로
슬픔을 표하는 거라면
절 역시 남녀가 반대로 손을 올리면서
그 슬픔을 표하는 게 아닌가...
이렇게 해서
기억하기로 했고
이제 몇 번 절을 해야 하는가?
절하는 법을 봐야겠죠?
세 번째입니다!
3. 절 하는 법
제가 어렸을 때 절 하는 법을 배울 때
어르신들이 그러셨어요.
"산 사람에게는
두 번 절하는 거 아니다!"
라는 의미는
죽은 사람에게는
두 번 절을 하는 것이다
라는 거겠죠?
그래서
산 사람 (상주) 에게는 한번,
죽은 사람 (고인) 에게는
남자인 경우엔
재배라 해서 두 번 절하시면 되고
여자인 경우엔 사배라 하여 네 번 절 하는데
도대체 이유가 뭔가?
여자는 음양으로 따지면 음이라서
양인 남자의 갑절 수로 절을 해야 한다는?
음양의 원리에 의해 양의 수는 1,
음의 수는 2로 보기 때문이랍니다!
근데 지금은 이렇게 안 해도 된다고!
그냥 남녀 모두 두 번 절하시는
재배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기독교 문상예절을 보면서
헌화방법, 공수법, 절 하는 법
모두 같이 살펴봤는데요
그러면 다른 종교는 어떻게 다른가?
천주교, 불교의 경우도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 예절
- 2. 천주교식 문상예절

이제 천주교식 문상예절인데
향이 등장합니다!
조문객이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한 뒤
준비된 국화꽃을 들고 고인 영정 앞에 헌화한 다음
뒤로 한 걸음 물러서서 15도 각도로 고개를 숙이고
잠시동안 묵념을 드린 후에
여기까지는 기독교와 같은데
그 다음에는 향이 나오더라구요...
준비된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에
향을 좌우로 흔들어서 불꽃을 끄시는데
절대 입으로 불어서 끄시면 안 된대요!
그 후 한쪽 무릎을 꿇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고 일어나
한 걸음 뒤로 물러서
절을 올리시면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절을 올린 다음
상주와 맞절을 하시고
상중 위로의 말씀을 전하시면 된다는!
그리고 향을 집는 방법이 따로 있는데요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으셔서
오른손을 왼손으로 받치시고
향로에 공손히 넣어주셔야 한다고.
이 부분이
제가 기독교에서 보지 못한 부분이고
천주교가 우리 문화를 많이 흡수했다
그런 생각이 드는 부분이었습니다.
언니는 기독교인데
할아버님은.. 어떤 종교이신지..
그래서 다 배워두려구요...
혹시 불교이시면???
장례식장 예절
- 3. 불교식 문상예절

불교식과 같은 경우는
유교식도 포함이 되는 거래요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드라마에서 나오는
그런 장례식 모습일 것 같습니다.
먼저 빈소에 들어서서
상주와 가벼운 목례를 하시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서
준비하신 향을 집어서 불을 붙인 다음
향을 좌우로 흔들어 불꽃을 끄시는데
절대 입으로 불어서 끄시면 안 되는 거 아시죠?
향로에 향을 정중히 꽂으시고 일어나셔서
한걸음 뒤로 물러난 뒤 절을 올이시면 됩니다.
그 후에 상주와 맞절을 하시고
준비한 상중 위로의 말씀을 드리시면 되는 거죠.
근데 중요한 건
내가 기독교인이니까
기독교식
이게 아니래요!
상가 댁 위주의 문상예절!
그래서 저도 종교별로
문상예절을 알아본 겁니다!
이게 원래는 어땠는지 모르지만
최근에는 이렇게 진행된다고..
그래서 생각지도 못한 향이 나올까봐
열심히 시뮬레이션을...
엄마랑 가까운 가족의 언니라서
제가 꼭 예를 표해야 하는..
근데 저 뭐 입고 가죠?
그냥 검은색 옷이면 되나요?
장례식장 예절
- 4. 조문객 옷차림
-- 남자, 여자, 학생

조문객의 옷차림 같은 경우는
예전에 비해서 좀 간소화되었다고 할까?
원래는 흰옷을 입어야 한느데
지금은 무책색 정도로...
다만 돌아가신 분과 가까운 사이였다면
옷차림에서
좀 더 예를 표하는 게 좋겠죠?
1. 남자의 경우
검은색. 회색, 그리고 감색
이런 계열의 양복을 입어주시고
와이셔츠도 이에 맞춰서
흰색이나 무채색을 입어주시면
무난할 것 같습니다.
2. 여자의 경우
우선 상의는 검은색으로
입어주시면 좋구요
하의 같은 경우는...
무채색 계열의 스커트!
근데 미니스커트 같이 통 좁은 것 말고
절 하기 편한 복장으로!
그래서 폭이 좀 있는
그런 스커트가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옷차림에 맞춰서
검은색 구두 + 스타킹 or 양말 정도!
다른 핸드백이나 장갑 같은 겨우도
검정색으로 해주시면 좋구요
절대로
색조화장은 피해주시는 게 좋고
다들 아시죠?
귀걸이 목걸이 반지..
이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하시더라도
눈에 띄지 않게...
3. 학생의 경우
학생은
교복이 가장 무난한데
우리 학교 교복이 너무 튄다?
그러면 무채색을 권하고 싶구요
모자는 안 됩니다!!!
저도 모자 좋아하는데...
머리 예쁘게 감고
모자는 안 쓰는 걸로^^

오늘은 이웃님의 댓글을 통해서
장례식장 예절 중
종교별 문상예절과
조문객 옷차림 알아봤는데요
아직은 제가 단 한 번도
장례식장에 가 본 적이 없습니다
이번이 처음이 되는 건지
아니면 코로나 때문에..
그냥 전화로 인사를 드려야 하는 건지..
엄마랑 얘기를 해보고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조의금은 미리 보냈구요
그래서 적을 일은 없었던...
오늘도
영어연구가 레미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한 하루 되세요!!!!!

'교육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재띠 계산법 : 삼합, 방합 등을 알아야! (들삼재, 눌삼재, 날삼재) 2025년 ~ 2036년 삼재띠까지! (0) | 2025.04.14 |
---|---|
2026 월드컵 개최국 : 북중미 미국 캐나다 멕시코 16개 도시 그리고 경기장!! (0) | 2025.04.14 |
가스라이팅 뜻, 자가진단 테스트, 빌런의 뜻 (0) | 2025.04.14 |
내신등급 계산기, 내신등급표, 석차 백분율, 석차 등급 (네이버, 내신닷컴, 스쿨로직 고등학교 고교) (1) | 2025.04.14 |
일반 쓰레기 VS 음식 쓰레기 구분 기준은? (1)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