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일상

2025년 을사년 무슨 해? 띠 순서 십이간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12간지

반응형

 

 

 

오늘 포스팅 주제는

2025년 을사년 무슨 해?

띠 순서 십이간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보며

12간지 계산법 익히기

(+2023년 계묘년) 인데요

 

 

이 포스팅은

저를 위한 포스팅이에요!

2022년은 임인년!

2023년은 계묘년!

 

 

그런데 2022년은 검은 호랑이 해였고

2023년은 검은 토끼 해라고 합니다!

이거 어떻게 구하는 건데?

 

 

그래서 계산법을 배워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한 10개 정도 계산해보려구요!

 

 

뭔가 원칙이 있겠지..

그쵸?

그럼 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Go go go ~

 

 

 

 

2025년 을사년, 2023년 계묘년 무슨 해?

띠 순서 십이간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보며

12간지 계산법 익히기!

 

 

 

 

 

먼저 아는 것부터 들어갑시다!

 

 

2022년은 임인년 흑호랑이해였고

2023년은 계묘년 흑토끼의 해라고 합니다!

 

 

그러면 적어도

 

 

1) 임계 순서로 된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2) 인묘 순서로 된 무언가도 있을 것이다

3) 1또는 2에 의해 색깔이 정해질 것이다!

 

 

라고 볼 수 있겠죠?

 

 

그래서 제 목표가 이걸 찾는 건데

정말 저 순서대로 치기만 해도

자료가 나옵니다!

 

 

1. 십이간지 중 십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먼저 '임계 순서' 로 검색을 했더니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가 나왔고

이걸 십간이라고 한다

까지 나와 있었습니다!

 

 

i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것만

표로 정리된 걸 가져왔는데요

먼저 십간에는

갑을병정무기경심임계가 있고

두 개씩 묶어서 색상이 정해져 있습니다!

 

 

갑을 : 파랑

병정 : 빨간

무기 : 노랑

경신 : 하양

임계 : 검정

 

 

그래서 2022년 임인년에는

검은 호랑이!

 

2023년 계묘년에는

검은 토끼가 되는 거였어요!

 

2025년 을사년에는

파랑 뱀 = 청사가 되겠네요!

 

 

 

이게 십간 때문이었다고 하는데..

그러면 도대체 십간은 뭐냐?

 

 

 

이렇게 식물이 자라는 순간부터가 갑이고

점점 성장해서 양기를 채워가는 과정이

을 병 정 무 기 까지!

 

 

그리고 경부터는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음기가 형성이 되고

계에 이르러서는 새로운 성장을 기다리게 되는..

 

 

이런 식물의 한 평생?

이 바로 십간이었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세월을 계산하는데

식물의 한 평생을 사용했다는...

 

 

이러니 이해가 좀 가더라구요...

난 저걸 왜 붙이는 건가 싶었어...

 

 

그리고 십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같은 경우는...

 

 

 

갑을 : 파랑 : 나무

병정 : 빨간 : 불

무기 : 노랑 : 흙

경신 : 하양 : 쇠

임계 : 검정 : 물

 

 

 

과 관계가 있다고 하는데요...

 

 

어르신들 초록색을 보고도

파랗다라고 하시잖아요?

그거 생각하면 될 것 같은...

 

 

그리고 불은 햇빛이 있어야

나무가 성장할 수 있으니까..

그리고 흙도 있어야죠!

 

 

쇠는 나무랑 상극이니까

음기 생성 시간으로 보면 되고

물은 물인데 검은색이잖아?

그래서 죽어있는 시간으로..

 

 

이렇게 그림을 그리면

굳이 외울 필요가 없을 것 같은...

흑호랑이와 흑토끼

이제 이해가 되었구요!

 

 

그렇다면 인묘는 뭔가?

이것도 인묘 순서로 검색을 해보면..

 

 

2. 십이간지 중 십이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띠 순서

 

 

십이간지라고 나오는데

사실 이건 알고 있었습니다!

아빠가 얘기해 줬어요!

 

 

옛날에 하나님이

동물들에게 달리기를 시켰는데

얌체 같은 쥐가 소한테 붙어 왔다가

으쌰~ 하고 튀어 나와서

1등을 했다 ㅋㅋ

 

 

어렸을 때 들은 거라서...

 

 

그런데 왜 동물일까?

십간이 의미하는 건 식물의 성장 기간

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동물도 있어야지!

그래야 형평성이 맞는 거 아니겠어요?

 

 

 

그럼 동물의 순서가 어떻게 되는가?

그림으로 나열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기억이 나겠죠?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쥐 소 호랑이 토끼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그리고 이 친구들이

시간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시 라고 하면

밤 11시부터 새벽 1시!

즉 두 시간씩 나눠서

12시가 평균값이 될 수 있게 ㅋㅋ

이렇게 보시면 되는 거예요!

 

그리고 각 동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간을 생각하며 만든 것이죠

 

즉 우리의 시간이라는 것은

다시 말해 인간의 시간이라는 것은

식물의 성장 배경과 일치하고

동물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키우는 동물도 있고

심지어는 용 같은 상상의 동물까지!

그러나 하나님 (천신) 앞에서는

모든 동물이 평등했을지도..

 

 

이런 식으로 스토리를 만들면

십이간지 기억하는 것

어렵지 않을 것 같은데....

 

 

문제는 계산법이에요!

 

 

3. 2023년, 2025년 무슨 해?

계묘년 등 12간지 계산법 익히기!

 

 

 

 

 

언제나 계산은

원점에서 출발해야 하니까

갑자년이 언제였는가

이것만 알면 됩니다!

 

 

그리고 검색해 보니까

갑자년은 서기 4년이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서기 4년을 (0,0) 으로 잡고

계산을 해보면

 

 

2022년 은

먼저 끝자리 수가 2입니다!

그러니 2 3 4 (임 계 갑 )

끝에서 두 번째인 임이 되는 거고

 

 

2023년은 끝에서 첫 번째니까

계가 되는 거네요

그쵸?

계산 된다!

 

 

 

그리고 2022년을 12로 나누면

2016까지 떨어지고 나머지가 6

4부터 계산을 해야 하니까 자 축 인

그래서 임인년이 되는 거네요!!!

오!!!!

 

 

그럼 2024년은?

4부터 시작하니까 갑

8은 다섯 번째니까 진

갑진년이 되겠습니다!

(3을 빼면 돼요!)

 

 

그냥 임인년을 외우면

하나씩 올리면 되는데

만약에 까먹었다!

그러면 이런 계산법도 괜찮다는 거죠!

 

 

아니 왜 흑토끼야?

이걸 몰랐었는데..

이제야 잠이 좀 오겠네요..

역시 자기가 나서서 찾아봐야 돼 ㅋㅋ

 

 

그럼 약속대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2간지 계산법을 이용해 구해보면

 

 

2023년은 계묘년 검은 토끼

2024년은 갑진년 파란 용

2025년은 을사년 파란 뱀

2026년은 병오년 붉은 말

2027년은 정미년 붉은 양

2028년은 무신년 노란 원숭이(?)

2029년은 기유년 노란 닭 (?)

2030년은 경술년 하얀 개

2031년은 신해년 하얀 돼지

2032년은 임자년 검은 쥐

 

 

인데 우리가 알고 있는 을사년은 1905년이었습니다!

그래서 120년 후인 2025에

다시 을사년 이라는 건

십간과 십이지의 최소공배수가 60이라서

(2*5*6 = 60)

60년마다 한번씩 똑같은 이름이

돌아온다는 거죠?

 

 

이게 바로 환갑입니다!

하하하하하

 

 

그리고 경술년이 2030년이니까

1910년이 경술국치 의 해이겠네요..

오!! 이거 좋은데?

 

 

계산하는 거 넘 잼나요 ㅋㅋ

경술국치는 화나지만...

 

 

 

 

 

 

오늘은

2025년 을사년 무슨 해?

띠 순서 십이간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색 보며

12간지 계산법 익히기

를 익혀보는 시간 가져봤는데요

 

 

왜 인간의 시간을 나타낼 때

십이간지를 사용하는가?

십간은 식물의 한 평생!

즉 태어나서 죽는 것을 의미하고

 

 

십이지는 동물의 시간!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걸 의미하는!

 

 

그래서 인간은 식물처럼

태어나서 죽는 유한의 존재이지만

살아있는 동안엔 동물처럼

활발히 움직여야 한다는 건가...

 

 

그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제가 살면서 이걸 찾아본 적이 없어요

예전에 2022년 삼재 조사할 때

그때도 여기까지는 생각을 안 했었는데...

이제는 정말 안 잊을 것 같은!

역시 공부는 필요해요^^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오늘도

똑똑한 리뷰어 레미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새해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