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공부

[영어 문법] 현재진행형으로 안 쓰는 동사들 : know, love, possess 이유 !

반응형

 

 

 

다시 본업으로!

 

제가 중3 친구들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이번 시험 범위가 현재완료진행형입니다.

 

그래서 어제 문제 풀이를 하는데

딱 저 세 단어가 나왔기에

 

저 단어들은 왜 현재진행형이 안될까

이걸 좀 이해하고 넘어갔으면 좋겠어서...

 

제가 가르치는 친구들에겐 얘기를 해뒀는데

그래도 이번 기회에 정리 좀 하자는 마음으로!

 

딱 저 세 단인 이유!

다른 것들을 대표할 수 있는 단어거든요

 

그럼 한번 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Go go go ~

 

 

 

 

 

* 중학교 3학년 친구들 중간고사 대비 포스팅입니다 ^^

 

'look for' VS 'find' 의미 에서 힌트를!

 

 

 

먼저 진행 불가 동사를 생각하면

find 가 생각납니다!

 

제가 look for 과 find 는 여러번 얘기를 했었는데

혹시 보신 분?

 

결론부터 말하자면

 

look for 는 진행형이 되고

find 는 진행형이 안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를

다른 동사들에도 적용할 수 있으면 되는 것 아니냐..

 

그래서 우선은 look for VS find 를 잡아놓고

공통분모를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look for sb / sth

 

- to try to find sth that you have lost

 

 

look for 은

기본적으로 try 의 개념입니다!

 

try 는 기도 또는 노력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중요한 건 결과를 모른다는 거예요.

 

I tried to open the door

문을 열어보려고 했는데... (결과 모름)

 

여기서 진행형이란 무엇인가?

 

1. 이미 시작하여

2. 아직 끝나지 않음 => 결과 모름!

 

이처럼 진행이라는 말 자체가

과정 중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를 알 수가 없습니다!

 

결과를 나타내는 말은

따로 필요하고

 

이 말은 자동적으로

진행형이 안 됩니다!

 

 

 

* find 의미

 

- get by searching : to discover, see, or get sth that you have been searching for

- get by cahnce : to discover sth by chance

 

 

이런 식으로

찾던 걸 결국 찾았거나, 우연히 그냥 찾았거나

 

즉 과정은 생략하고

'찾게 되었다' 라는 결과만 나타내는 단어가 바로 find 입니다!

 

이렇게 결과가 나왔는데

이걸 어떻게 진행형으로 나타낼 수 있냐고?

 

진행형의 정의 에 위배되잖아요?

'아직 끝나지 않은 사건' 이어야 하는데!

 

그래서

 

결과를 말하는 동사들은

진행형으로 나타낼 수 없지 않겠느냐?

 

이걸 일반화하면 공식화가 될 것이고

이를 위해 대표적 동사들

 

know (머리), love (가슴), possess (손)

 

의 성질을 보면서

과연 이것들을 결과값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가

 

이걸 좀 살펴보려고 합니다.

 

수학이랑 같은 원리예요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한 후

같은 조건에서 일반화할 수 있는가를 보는 것!

 

이런 수학과 유사한 성질이 있어서

영어는 참 잼나는 것 같습니다!

 

그럼 우선 know 부터!

 

 

 

 

Know 의 어원과 의미

 

 

 

 

* know 어원

 

- perceive a thing to be identical with another, be able to distinguish

- have a knowledge of

 

 

무엇을 '안다' 라는 건 무엇인가?

 

A 는 B 와 같고, C 와는 다르다!

 

이런 식으로 서로간의 속성을 파악해서

비교 대조가 가능한 상태를

 

우리는 '안다' 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결과값이예요!

어떤 대상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 거야!

 

뭘 통해서?

 

우연히 / 경험을 / 학습을 통해서...

 

그러니 이건 영어문법 현재진행형으로 쓸 수가 없어요!

 

우연히 알게 되다!

겪어서 알게 되다!

배워서 알게 되다!

 

이런 식으로 know 는

결과 값입니다!

 

 

 

 

* Know 의미

 

- to have information about sth

 

 

여기서 have 동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

이미 소유한 상태라고!

 

즉!

끝나버린 사건이고 결과값이라는 겁니다!

 

그러니까 알고 있다 라고 하지 말고

알게 되다 라고 해주세요!

 

그럼 안 헷갈릴 거 아냐?

그쵸?

 

 

Who knows the answer?

이 답 아는 사람? = 어떠한 경로를 통해 이미 정답을 머릿속에 가지고 있는 사람 = 정답을 이미 알게 된 사람

 

 

현제 가지고 있는 상태라는 건

이미 어떠한 과정을 거쳐 가지다 의 행위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know 는 결과값! -> 진행 불가

괜찮죠?

 

 

 

love 의 어원과 의미

 

 

 

[영어 문법] 현재진행형으로 안 쓰는 동사들 : know, love, possess 이유

 

 

 

 

* love 어원

 

- to feel love for, cherish, show love to, delight in, approve

- have a passinate attachment.

 

 

love 역시

어떤 과정을 거쳐 갖게 된 결과값입니다.

 

一见钟情

love at first sight

 

첫눈에 반하다 라는 뜻인데

조건이 보이잖아요?

 

적어도 보기라도 해야 돼!

즉 어떤 계기가 일으킨 결과값이라는 겁니다!

 

사랑에 빠지는 시간 = 3초!

그래도 봐야 할 것 아냐!

 

이런 식으로 원인 -> 결과 로 나눈다면

love 는 결과값이예요!

 

그래서 원칙적으로

영어문법 현재진행형으로 사용할 수 없는 동사입니다!

 

 

 

 

* love 의미

 

- to have strong feeling of affection for sb

 

 

이렇게 정의 자체가

뭔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강한 애정을 갖게 되는...

 

그래서 love 역시

사랑하게 되다 의 결과값이라는 겁니다!

 

 

쌤!

love 현재진행형 쓰는 거 본 적 있는데요?

 

 

그래서 제가 준비했습니다.

구어체에서는 들어볼 기회가 있으셨을 테니...

 

 

* Using the progressive

 

 

The usual rule is that love is not used in the progressive.

 

✗Don’t say: I am loving my children. | She is loving jazz.

 

In spoken English, people sometimes say

 

I’m loving something they have just seen or heard:

I’m loving his new show (=I like it a lot).

 

 

출처 : longman dictionary 'love'

 

우선 구어체에서 가능한 표현이라는 거

확실히 선을 그어드리고...

 

조건이 있습니다!

이제 막 보거나 들은 대상

 

"I'm loving his new show"

저 사람 쇼! 좋아질 것 같애!!!!

 

이렇게 자기 감정에 대한 확신 없이

그 감정이 시작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싶을 때!

 

즉 어떤 일이 이미 발생했지만 끝나지 않았다

바로 현재진행형의 정의와 일치하죠!

 

근데 love 는 원칙적으로 결과값입니다

그래서 저건 구어체에서의 허용 정도로 봐주셔야 해요....

 

앞으로 저런 개념이 더 발전해서

영어문법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겠는가....

 

영어문법도 진행형이거든요^^

완성형이 아니예요

 

그래서 이 부분은

저도 지켜보고 싶은 부분입니다!

 

그러나 다시 말씀드리지만

구어체에서 허용되는 정도입니다

 

지금은!

 

 

 

Possess 의 어원과 의미

 

 

 

 

* Possess 어원

 

- to hold, occupy, inhabit

- to have and hold, take,

- sed "to sit"

- have complete power or mastery over, control

 

 

제가 이걸 설명드리기 위해서

왕좌의 게임을 봤나 봅니다..

 

왕좌는 앉으면 일단 끝이예요!

그냥 깔고 앉으면 자기 것이 되는!

 

이게 have 의 개념에 있습니다!

그래서 결과값이예요!

 

엎치락뒤치락 할지 모르지만

딜단은 끝난 거야!

 

소유라는 개념이 무엇인가?

일단은 끝난 사건이예요!

 

그래서 진행형이 안 되는 동사 얘기할 때

have 를 대표동사로 잡잖아요?

 

잡고 안 놔주는 거야!

그럼 뺏기기 전까진 내 꺼야!

 

이런 개념이 have 에 있어서

have + 목적어가 되는가를 제가 계속 체크하고 있었던 겁니다.

 

그리고 possess 는 당연히 되죠!

 

 

 

 

* possess 의미

 

- 1. to have a particular quality or ability

- 2. to have or own something

 

 

만약에 have 나 possess 가 진행형이 된다?

즉 시작은 했으나 끝나지 않은 사건이라고 하면

 

난리가 납니다!

 

진정한 소유 라는 개념이 완전히 사라져서

자본주의의 근간을 이루는 사유재산 제도가 무너져요!

 

사유재산이라는 건

이 사람이 이것을 소유하고 있음 (법적으로 끝난 사건)

 

이라는 개념이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have 가 진행형이 된다?

 

그럼 이 바탕이 흔들리고

그 무엇도 '소유' 라는 개념을 쓸 수가 없는 겁니다!

 

법적으로 우리집인데!!!!

가 안되는 거예요!

 

그래서 이 have 라는 개념으로 나타낼 수 있는 친구들은

결과값으로 봐줘야

 

세상이 편해집니다!

안정된 세상이 된다고!

 

그래서 앞으로

진행형 불가 동사를 만나게 되면

 

이것이 결과값인가 아닌가

먼저 체크해보면 어떨까요?

 

다음과 같은 동사들을!

 

 

 

'결과적 개념' 의 적용 확대 가능성

 

 

* Here are some of the most common non-continuous verbs:

 

1. feeling: hate, like, love, prefer, want, wish

2. senses: appear, feel, hear, see, seem, smell, sound, taste

3. communication: agree, deny, disagree, mean, promise, satisfy, surprise

4. thinking: believe, imagine, know, mean, realize, recognize, remember, understand

5. other states: be, belong, concern, depend, involve, matter, need, owe, own, possess

 

 

* 출처 : www.englishclub.com

 

 

 

=> 감정, 감각, 의사소통, 사고 그리고 다른 상태는 모두 '결과적' 값이다!

=> '~하게 되다' 로 표현될 수 있는지 확인하라!

 

 

 

무언가에 어떤 감정을 지닌다는 건

어떤 사건이 원인이 된 경우가 많고

 

어떤 것을 느낀다는 것은

느끼게끔 한 원인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사람과의 소통이라는 것은

그런 결정을 내리게 한 원인이 있었을 거라고 생각해볼 수 있으며

 

우리의 사고라는 것은

외부 혹은 내부 요인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존재 필요 의존 소유 등의 개념 역시

뭔가 원인이 되는 것에 대한 결과값이 아닐까요?

 

그래서 전 이 '결과적 개념' 은 진행형으로 사용할 수 없다!

를 좀더 보편화할 수 있는가를 보고 있는 중입니다.

 

어떤 동사를 만나든

그것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값이다!

 

이렇게만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면

진행형 불가 동사로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저는 외우는 거 정말 싫어해요

제가 이해를 해야 넘어가는 스타일이라서

 

큰 그림!

공통되는 그림 하나를 공식으로 잡고

 

몇 개를 통해서 증명을 하고

그걸 보편화시키는 것!

 

이게 지금 하고 있는 일입니다.

 

 

그래서 영어 연구가인 거예요.

전문가가 아니야!

 

전문가는 정말 뭔가 완성시켜서

타이틀을 얻은 것 같은 기분인데

 

저는 아직도 할 게 많아요!

그래서 평생 영어 하나 잡고 연구하면서 살고 싶어요.

 

영어 잼나잖아?

이 안에 다 있잖아?

 

영어 어원 등을 살펴보면

세상 잼나는 얘기가 그 안에 다 있어요

 

그래서 포스팅을 할 때마다

행복해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도움이 되었을까요?

 

 

done for today!

brought to you by lesmy

take care!

 

 

레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