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숙어 구동사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반응형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저는 엎어버리는 걸 좋아합니다.

정말 공들여 쓴 글이라고 해도 맘에 안 들면 엎어버리는 성격입니다.

 

제 글의 성격은 '자유로움' 인데

어딘가 모르게 막힌 느낌이 든다?

 

그러면 바로 엎어버립니다.

그 편이 새로 이어서 쓰기 쉬우니까!

 

이 글도 마찬가지!

손 댄 건 어제인데 아직도 붙들고 있는.

 

어제 너무 안 좋았고

지금도 별로 안 좋고

 

이런 상태에서 써서 그러나?

다 엎으면 이보다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을까?

 

그래서 처음으로 망설여집니다.

그리고 엎지 않고 수정이라는 걸 해보기로 했습니다

 

철저히 제3자가 되어서!

 

 

 

1. be up to

 

 

오늘은

 

be up to 를 보면서 어디까지 유추해볼 수 있을까?

조금 색다른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예문 함께 봐주세요^^

 

 

I saw you hiding in the bushes yesterday. What were you up to?

 

일어난 일 : 내가 너 봤다! 수풀 속에 숨어있는 거!

궁금한 일 : 뭐하고 있었던겨?

 

 

이건 솔직히 be up to 모르고 what 하고 you 만 봐도 해석이 그냥 돼요

그쵸?

 

그냥 간단히

what were you doing? 이라고 생각하면 되잖아?

 

확인해볼까요?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맞죠?

 

What are you up to = what are you doing?

 

 

이런 경우는 예문이 다 한 거예요.

그래서 문장으로 그리고 좀 여유가 되면 짧은 대화 (exchanges) 를 기억하라고 하는 겁니다.

 

설명이 필요없이 머릿속에 그림만 잘~ 그리면 바로 이해가 되는!

이것이 바로 구동사의 힘!

 

 

 

그럼 이 up 이라는 것으로 어디까지 상상해볼 수 있을까요?

틀리든 맞든 우리 상상에 제약을 두지 맙시다!

 

 

1) 과거 시점

 

 

우선 up 은 위로 즉 솟구치다 라는 느낌을 주는 전치사입니다.

 

제가 피부가 참 약한데요

그래서 피부 트러블도 참 잘 일어나는

 

피부에 뭐가 생기면?

위로 볼록하게 올라오죠?

 

그리고 이 트러블이라는 것이

꽤 잠복기를 거친 후 볼록 하고 올라오는 거잖아요?

 

그래서 전 이 느낌과

뭔가 잠복해있다가 터지는 문제! 와 연관시켜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문제'

이 키워드 기억해주세요^^

 

 

 

 

2) 현재 시점

 

 

저 예문을 보고 힌트를 얻은 건데요

be up to

 

주어가 사람인 경우 올라서 어딘가로 향하는 느낌...

바로 산을 타는 산악인의 모습이 그려지지 않으세요?

 

 

A : Why did you climb Mt. Everest?

B : Because it is there.

 

 

너무나 유명한 일화죠?

산에 왜 오르는가? - 산이 거기에 있기에!

 

 

그래서 전 up to 를 성취하려는 '목표' 와 연관시켜보려고 합니다.

괜찮죠?

 

 

 

 

3) 미래 시점

 

 

이제 미래입니다.

우리 신체를 따라 올라가봅시다 (up)

 

만나는 곳이 어디인가요?

바로 우리 뇌!

 

그래서 전 이 up을 '뇌' 즉 '생각' 과 연관지어 생각해보기로 했습니다.

과연 맞을까요?

 

 

이렇게 하고 싶었는데

어제는 제가 틀을 만들어놓고 그 틀 속에서만 생각하라고...

 

그건 제 방식이 아니거든요!

전 그냥 자유롭게 생각하고픈!

 

정해진 정답을 따라 움직이는 것?

아뇨! 전 정답이 아니더라도 가보는 사람입니다.

 

아.. 이건 정답이 아니구나!

라는 지식을 얻을 수 있잖아요!

 

그래서 그냥 가보겠습니다!

뚜벅뚜벅!

 

 

 

 

(1) What happened ?

 

 

첫번째 1) 에서

제가 하고 싶은 말이 이거였겠죠?

 

이것과 up 을 어떻게 연관시킬 수 있을까요?

 

그냥 간단하게 what's up with you?

라고 하시면 됩니다.

 

너한테 무슨 문제가 일어난겨?

너한테 무슨 문제가 생긴겨?

 

문제가 일어나다 에서 일어나다 란 의미에

바로 up 이 보이잖아요?

 

그래서 what'up ? = what happened ? 의 의미가 됩니다!

 

쉽죠?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그럼 이렇게 표현 하나를 알았으니

다양하게 활용하면 좋겠죠?

 

 

 

- 1.what's up

 

뒤에 아무것도 안 붙이고 what's up 하면 무슨 뜻일까요?

그냥 아무 의미없이 wha's up?

 

자 한국말 한번 생각해볼께요.

'밥 먹었어?' "잘 지내? 이게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걸까요?

 

그냥 인삿말이잖아요?

뭔가 목적을 가지고 묻는 것보다는 내가 너한테 이렇게 관심이 있다 정도?

 

그래서 전 이럴 땐

How are you? What's going on?

 

정도로 가볍게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잘 지냈어?

 

 

 

- 2. what'up with somebody ?

 

 

1번과는 다르게 목적이 생겼잖아요!

나는 알고 싶다! 정확히 너에 대해!

 

그러니 그냥 인사라기보다는

조금 심각하게 가는 게 어떨까요?

 

 

A : You look so sad today. What's up with you?

B : My dog passed away yesterday. I really miss him.

A : Oh, I'm sorry to hear that.

 

A : 오늘따라 슬퍼보여. 무슨 일 있어?

B : 우리 강아지가 어제 하늘 나라로 갔어 ㅠㅠ 너무 보고 싶어 ㅠㅠ

A : 아... 어떡혀 ㅠㅠ (레미 스타일)

 

 

이건 원인이 주어져 있잖아요! 슬픈 얼굴!

그러니 그에 따른 궁금증이 따라올 거고.

 

제가 드리고픈 말씀은

구동사는 외우는 게 아니라 그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거예요.

 

여기서 굳이 제가 What's up with you를 쓰긴 했지만

그냥 what's up 해도 말이 되죠!

 

왜?

앞에 상황이 주어져 있으니까!

 

그래서 영어 표현은 맥락 속에서 기억을 하셔야 합니다

수학 공식처럼 외우는 것도 좋겠지만 상황에 정말 지배를 많이 받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회화에 약한 게 아닐까

구동사를 열심히 하다보면 해답이 나오지 않을까

 

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우리가 한국어 배울 때 단어 뜻만 열심히 외운 적..

거의 없죠?

 

그냥 이런 상황에서 이런 말 하는 거 듣고

저렇게 말하는가 보다 하고 그냥 따라하다보니까 말이 된 거잖아요?

 

영어도 그렇게 배워야 하는 거 아닐까요?

그게 제 숙제입니다!

 

잘 풀어볼께요^^

 

 

그럼 이 표현은 어떻게 바꿔볼 수 있을까요?

 

What happende to you?

What's the matter with you?

What's wrong with you?

 

그냥 뭔 일 있냐? 궁금하다

할 수 있는 거면 되지 않을까요?

 

 

물론 여기서

What's the matter 과 What's wrong 을 엄밀히 구분하고픈분 계실지도 모르지만

 

그것도 전 상황에 맡겨야 한다고 봅니다.

이 상황에서는 질문의 의도가 뻔하잖아요?

 

Why are you so sad?

 

이 느낌만 전해지면 된다고 생각해요^^

 

 

 

- 3. what's up with something ?

 

 

이번엔 구체적인 사물이네요.

음... 자동차를 예로 한번?

 

 

A: My car won't start. What's up with it ?

B : It's broken down. You should have it fixed.

 

A : 차가 안 움직여! 왜 이러지?

B : 고장 났네! 고쳐야겠다!

 

 

이렇게 길게 쓰기는 했는데

그냥 두 손 올리고 what's up 하는 그런 그림?

 

이런 식으로 다양하게

상황에 맞게 써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원어민들이 어떤 표현을 어떻게 쓰는지

많이 봐야 합니다!

 

TV 광고 있죠? commercial film 이라고 하는!

이런 친구들 보시는 것도 굉장히 도움 돼요!

 

 

예를 하나 들자면

이 광고!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여기서 you do you and get rewarded 란 표현이 나오잖아요?

무슨 뜻일까요? 그냥 광고 보면 느껴져요.

 

하고픈 대로 해도 보상받네!

뭐 이 정도?

 

 

you do you = you do what you want to do.

 

그리고 이걸 응용해볼 수도 있어요.

 

I do me.

Let me do me

 

 

이렇게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근데 이 광고가 2018년 광고예요

그러니 이 표현을 알고 쓰는 사람들이 꽤 많겠죠?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쓰다가 그게 괜찮으면

관용어 즉 Idiom 으로 굳는 거구요.

 

그래서 회화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에게

TV 광고 보시는 것도 추천드려요^^

 

레미의 소소한 팁!

 

 

 

 

 

(2) What're you doing?

 

 

 

자 그럼 이젠 be up to 로!

 

 

 

4. Be up to (in 2000 phrasal verbs) 필수 영어숙어 구동사 예문을 보며 어디까지 유추해볼까?

 

근데 이게 참 잼있는 게

what are you up to 뒤에 뭘 붙이느냐에 따라서

 

과거 (현재완료) / 현재 / 미래 를 다 질문해볼 수 있습니다

 

 

- 1. What are you up to these days?

 

- 2. What are you up to now?

 

- 3. What are you up to tomorrow?

 

 

진짜 획기적이지 않아요?

복잡한 시제! 조동사! 다 날리는 거야!

 

이게 바로 구동사의 매력입니다!

문법 몰라도 말이 돼! 왜? 구동사 땜에!

 

지금 문법 -> 어법 으로 가고 있기 때문에 (중요성이)

말이 되면 되는 거예요. 실제로 그렇게 쓰느냐만 알면!

 

그래서 지금은 많이 듣고 보고 익혀야 하는 때입니다

귀에 들리는 건 다 들으시고! 눈에 보이는 건 다 보시고!

 

영어가 어떻게 변할지 저도 너무 궁금해요

 

예를 들어

be 동사의 부정형을 우리는

 

am not / aren't / isn't 이런 식으로 보잖아요?

근데 회화에서는 ain't 로 끝나요!

 

주어가 뭐든 그냥 ain't !

그리고 팝송에서도 이미 ain't 많이 쓰고 있죠?

 

 

 

영어는 경제적 언어라고 말씀드렸고

경제성이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이라는 거죠!

 

 

근데 1 2 3인칭 구분할 이유가 없다 생각한다면?

현재완료 현재 미래 나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면?

 

이런 발상들이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고 있는 거예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늘어나면 그제 주류 가 되고 문법도 바뀔 수 있습니다.

 

언어는 사람이 만든 거니까요

사람의 생각이 바뀌면 당연히 언어도 변하겠죠.

 

 

그래서 영어든 뭐든 어학을 공부하는 사람은

쉴 수가 없고! 쉬면 안 됩니다!

 

정치만 생물이 아니라 언어는 진정한 생물이에요!

생성 - 성장 - 변화 - 소멸 의 과정을 다 겪어요!

 

많이 사용되는 것들은 살아남고

그렇지 않은 것들은 도태돼요!

 

 

이 세계도 참 치열한 세계랍니다.

오늘도 열심히 살가고 있는 언어들! 힘내라!!!!!!!

 

 

 

 

 

 

(3) come up with

 

 

사실 이 부분은 이미

What are you up to tomorrow = What's your plan for tomorrow?

 

 

와 겹쳐져서 김이 빠지긴 했지만

열심히 한번 살려보겠습니다!

 

 

우선 up 을 살려서 '떠올리다!" 어떨까요?

우리 이미 알고 있죠?

 

come up with!

 

 

 

저는 동의어를 보면서

'생각의 흐름' 에 대한 인식 에 대해서 잠깐 생각해보았는데요

 

 

우리는 생각이 어떻게 흐른다고 믿고 있는 걸까요?

 

 

 

- 1) produce, propose, put forward, present, bring forward

 

생각하면 그걸 바로 얘기를 해야 되죠?

누군한테? 앞에 있는 사람한테!

 

상사일 수도 있고! 대중일 수도 있고!

생각은 앞으로 흐릅니다!

 

 

 

- 2) think up, put up

 

그리고 두번째로 우리 뇌는 우리 몸의 우시부분에 있기 때문에

이 생각은 위에서 이루어지는 건데

 

저는 여기서 이런 생각을 한번 해봤어요.

앞으로! 그리고 위로! 보낸 생각은 제 것일까요?

 

 

 

지극히가 아닌 지독히도 현실적인 얘기 한번 해볼까요?

프로젝트를 할당 받아서 좋은 아이디어를 내면 그 아이디어는 누구 소유가 됩니까?

 

내가 실장이 아닌 이상엔! 내가 팀장이 아닌 이상엔!

그 아이디어는 제 것이 아닙니다.

 

내 머릿속애서 떠올려서 이미 앞에 내놓은 이상

완전한 제 소유만은 아닙니다.

 

평가받을 수 있고! 수정될 수 있고!

그리고 누군가의 아이디어가 더 좋다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up 의 의미에 이런 것까지? 할 수도 있겠지만

저는 그런 '소유와 분리' 에 대한 생각이 들었어요.

 

up 하면 떠나가는

down 하면 정착하는

 

 

그런 느낌?

 

 

come up with 를 얘기하다 보면

come down with 를 애기 안 할 수 없죠?

 

사실 come down with = be down with 가 됩니다.

 

I'm down with flu!

이렇게 얘기해도 되거든.

 

 

 

지금 동사를 보면

 

come / fall / be 인데

이게 가능한 이유가

 

 

come -> be

fall -> be 라는 거죠!

 

 

그래서 나 갈께!

I'll be there! 라고 하잖아요?

 

 

오다 의 결과 : 그 자리에 있다

내리다 의 결과 : 그 자리에 내려 앉아 있다.

 

 

그래서 come up with -> be up with 가 안 될까 생각해본 겁니다.

안 되면 왜 그럴까도!

 

근데 없는 거야?

그래서 '소유와 분리' 에 대해서 생각을 한 거예요!

 

 

생각이란 떠올려서 앞에 내놓는 순간

더 이상 내 것이 아니라고 믿어야 하는구나.

 

그래서 지독히 현실적인 스토리도 생각을 했던 거고...

 

 

 

사실 이 부분을 지울까 했었는데

이렇게 생각한 것도 나름 의미있다 여겨서 그냥 두기로 했습니다!

 

 

자 그럼 오늘 배운 것

다시 한번 정리해보도록 할까요?

 

 

 

be up -> What's up -> how are you? what's the matter? what's wrong?

 

 

be up to -> what are you up to = what are you doing / now or tomorrow // What have you been doing lately?

 

 

come up with <-> come down with = be down with

 

 

 

그리고 전반적인 up 의 이미지

소유와 분리 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참 정착 하니까

settle down 생각나시죠?

 

이거야말로 정말 말 그대로 정착 이네!

ㅋㅋㅋ

 

 

아! 이것도 소유와 분리! 해볼 수 있어요!

settle up with!

 

 

소유 (정착) : settle down

분리 : settle up with

 

 

이게 빚진 거 싹 갚는단 얘기거든요?

그러니 내 손을 떠난 거지!

 

pass up 도 그렇고

up 하면 붕 떠올라서 이미 내 것 아님! 뭐 이런 느낌이 강해지네요..

 

 

이 부분은 구동사 2000 계속 진행하면서

정말 그런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행복한 주일되세요!

 

 

감사합니다!

레미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