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어원 공부를 하고 싶은데
아직 수능 특강 발매일은 조금 멀었고..
올해는 수능 특강 단어 어원을 좀 볼까
살짝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주중에는 초등 영단어를 중심으로
어원 그리기를 했다면
주말에는 좀 깊이 들어가고 싶은데
뭐가 좋을까..
어원 공부하기 좋은 과목은
의학이나 심리학!
근데 의학은 제가 잘 모르고..
심리학은 공부를 해 본 적이 있어서
MBTI 성격 유형 심리테스트를 영어로 해 보고
거기에 나온 단어 어원을 정리해보자..
근데 제가 할 때마다 다르게 나와요
이런 식으로
2018년 04월 : ISFJ : 용감한 수호자
(헌신적이며 성실함)
2019년 02월 : ESFJ : 사교적인 외교관
(타인을 돕는데 열심임)
2021년 01월 : INFJ : 선의의 옹호자
(이상주의적 성격)
2022년 01월 : ISTJ : 청렴결백 논리주의자 (현실주의적 성격)
이 정도면 사람이 변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근데 이렇게 변할 수 있는 이유는?
물론 제 환경이 좀 독특하긴 합니다.
원래 성격은 내성적인데
좀 나서야 할 때 (강의)가 있어서 살짝 외향적
근데 성격은 어디 가지 않고..
그래도 조금은 희망이 있었는데
지금은 오로지 현실만 보이는..
그러니 저렇게 변할 수 밖에 없잖아?
그리고 저 성질들이 상호배타적인가...
건널 수 있는 다리라고 생각해요
오늘 제가 테스트한 결과인데요
이번엔 영어로 테스트를 해 봤거든요?
그래서 더 딱딱하게 나온...
mbti 성격 유형 ISFJ, INFJ, ISTJ 의 I : introversion, introvert, withdraw 영어어원

출처 : MBTI 성격유형 Test
E : I = 34 : 66 (엄청 내향적)
N : S = 45 : 55 (상당히 현실적)
T : F = 53 : 47 (사고 논리적)
J : P = 72 : 28 (판단 조직적)
A : T = 42 : 58 (적극적?)
=> ISTJ-T = Logistician
대충 이렇게 나오는데
차이가 크게 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고!
근데 저한테 중요한 건
저렇게 둘을 나눈 기준이 무엇인가?
그걸 어원을 보면 알 수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저 단어들을 하나씩 찾아보려구요
어떤 그림을 기준으로 나눈 건지
무겁지 않게!
그럼 오늘은 첫 시간이니까
ISFJ, INFJ, ISTJ 의 I 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Go go go ~
mbti 성격 유형 ISFJ, INFJ, ISTJ 의 I : introversion, introvert, withdraw 영어어원

* 명사 Introversion 어원
1650s, "action of turning inward" (of thought or contemplation),
from Modern Latin introversionem, noun of action from past participle stem of *introvertere (see introvert (v.)).
Psychological meaning "tendency to withdraw from the world" is from 1912
* 동사 introvert 어원
"turn within, direct inward," 1650s, from Latin intro "inward, within" (see intro-) + vertere "to turn" (from PIE root *wer- (2) "to turn, bend").
* intro 어원
"in, on the inside, within, to the inside,"
from PIE *en-t(e)ro-, suffixed form of root *en "in."
<source : etymonline>
어원을 공부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냥 어원이 지시하는 대로 보기만 하면 돼요!
그리고 저것들을 분해해서 다시 하나의 그림으로!
Introversion 은 introvert 에서 왔기 때문에
당연히 같은 그림입니다.
그래서 쪼갤 수 있어!
in (in) + tro (on ->to) + vert / version (turn, bend)
-> withdraw from the world
in / out 의 경계가 무엇인가?
the world 죠?
그래서 여기서 사교적인가 아닌가..
이걸로 내성적 / 외향적을 나눌 수 있는...
그리고 intro 가 운동을 하는 친구예요
가만히 있는 게 아니라 더 틀어박힐 수 있는!
E : I = 34 : 66 (엄청 내향적)
제 결과가 오늘 이렇게 나왔는데
예전에 한 것과 비교를 좀 해 볼까요?
제가 제 블로그에서 mbti 를 치고 찾아본 결과
외향 : 내향 이 43 : 57 이었습니다.
이 부분은 고정이 아닌 거예요
사람이 어떤 환경에 놓여 있느냐?
이에 따라서 충분히 변화할 수 있는!
저 같은 경우는 몸이 안 좋았고
그래서 세상에 나가는 게 어려워졌다고 판단한 거잖아요?
근데 그게 점점 심해졌다는 거지!
그래서 오늘 같은 결과가..
그리고 영어로 하는 게 더 정확하단 말이 있어서....
근데 제가 이걸
Introversion 의 어원만 보는 게 아니라
Introversion -> 어떻게 이어지는가?
withdraw 로 들어가네요...
* withdraw 어원
early 13c. (transitive), "to take back," from with "away" + drawen "to draw,"
possibly a loan-translation of Latin retrahere "to retract."
Intransitive sense from mid-13c.
Sense of "to remove oneself" is recorded from c. 1300.
Related: Withdrawn; withdrawing.
* retract : draw back
* remove : re- "back, away" (see re-)
+ movere "to move"
(from PIE root *meue- "to push away").
역시 저기에 나와 있는 단어들을
쭉 연결해서 하나의 그림으로
방향은 back 이나 away 에서
인간의 지향 방향이 아닌 반대 방향으로 거리감을 만드는!
그래서 이건 from 뒤에 뭐가 오느냐가 중요한데
the world 죠?
back away from the world
간단하게 말해서
세상에 나를 보이고 싶지 않은 성격인 거예요.
introversion 이 들어간 성격은..
내향적이다 라는 게
안으로 접어들어 가는 거니까..
제가 ISFJ, INFJ, ISTJ 의 결과가 나올 때마다
저는 제가 드러나지 않기를 바라고 있었던..
이런 성격이니까 드러나야 살 수 있는 현실이
저한텐 너무 버거웠던 거죠...
ISTJ 가 청렴결백한 논리주의자라고 하는데
내가 이렇게 청렴결백하게 살 수 있는가..
이걸 계속 고민하게 되는..
나는 얼마나 정직하게 살 수 있을까..
남들이 하는 만큼만 정직하면 될까
이 기준을 잡지 못해서 마음이 참 힘들었습니다.
근데 Introversion 을 보니까
이건 운동이고.... 세상과 더 멀어지려는 속성이 느껴지는..
바로 나네!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심리학을 좀 공부를 했는데요
영어 어원으로...
이렇게 어원을 보면 가장 처음 그림이 보이니까
대입하기가 참 편한...
내가 세상과 멀어지려 하고 있구나..
내 문제가 딱 진단이 되는!
내가 그러면 안 되는데 그러고 있구나
그럼 내가 고쳐야겠다.
이래서 MBTI 성격 유형 테스트를 하는 것 같아요
자기 성향이라는 건 변하지 않는 게 아니니까..
내가 지금 저렇게 내향적으로 변했으니
먹고 살 만큼은 외향적으로 바꿔보자!
이런 노력을 하라고
이 테스트를 하는 거잖아요?
저는 항상 저한테 좀 중요한 시기에
이 테스트를 했었거든요.
그리고 설명을 읽는 것보다
이렇게 어원을 보고 직접 부딪혀서 그리는 게 편한!
설명은 남의 말을 거치는 거잖아요?
이건 바로 직접이잖아?
영어 : 나
이런 그림을 바로 그릴 수 있으니까..
그래서 전 어원이 좋고
이 작업도 계속 하고 싶습니다.
내가 나를 알아야
세상에 맞춰 보든가 할 거 아냐..
그쵸?
밝아지려는 노력도 계속 하면서
현실의 자신에 대한 진단도 잊지 않는...
제가 할 수 있는 게 어원뿐인데
이걸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역시 또 어원을 보면서
답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저와 똑같이 I 의 성향을 가지신 분들!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done for today!
brought to you by Lesmy
take care!
레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