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어연구가 레미입니다. 오늘 함께 나눌 주제는 초등 영어문법 영어 수동태 능동태 능동 수동 열려 있는 open VS 닫혀 있는 close +d 일까? 다시 말해서 열려 있는 은 형용사 한 단어로 그려지는데 닫혀 있는 은 왜 과거분사 즉 수동태로 설명해야 하는가? 그래서 제가 타이틀에 적지는 않았지만 능동태와 수동태에 대해서도 살짝 설명을 드릴 예정이고요.
open 과 close 는 서로 어원 출처가 다릅니다. 그래서 open 과 같은 성격을 지닌 라틴어를 사용해서 close 의 어원과 대비를 시켜서 정확하게 어떤 그림을 그리게 하는가? 그리고 어떤 물리적 현상의 변화에 의해서 둘 다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인가 역시 고찰해 보려고 합니다.
제가 원래는 '인식 존재 그리고 이유' 라는 책을 쓸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책은 쓰지 않기로 했고요, 대신에 매일 책을 쓰는 기분으로 이 프리미엄콘텐츠를 채워나갈 예정입니다. 그렇게 실용적인 글은 아닐 것입니다. 그러나 한 번쯤 궁금해했는데 아무도 이야기를 해주지 않았던 이야기! 일 거라고는 자신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려운 걸 싫어해요. 증명의 과정은 어렵게 보일 수 있지만 해답은 명쾌하게 뽑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힘차게 달릴게요! Go go go ~
초등 영어문법 영어 수동태 능동태 능동 수동 열려 있는 open VS 닫혀 있는 close +d!

먼저 open 의 그림부터 감상하시겠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 그림이 아니죠? 진정한 open 은 무엇인가?
영어는 어떤 식으로 설명을 하고 있을까요? "not closed" 불행하게도 open 이라는 말은 close 가 아니면 설명을 할 수 없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이 해답만 찾으면 오늘 포스팅은 끝나는 거겠죠?
그래서 여기서 살짝 저도 벽을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open 이라는 단어는 'upo'에서 나왔는데 이 단어는 단순히 under 이 아니라 up from under 즉 아래위가 하나도 막히지 않은 그림입니다. unencumbered = un (not) + en (in) + cumber (heap) + ed!
내가 시골길을 걸어가고 있는데 짚이나 이런 것들이 쌓여져 있으면 방해가 되잖아요? 그런 것들이 하나도 없는! 즉 인위적인 것이 하나도 없이 자연의 상태 그대로인 것입니다. 그래서 open 은 스스로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대말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close입니다!
초등 영어문법 영어 수동태 능동태 능동 수동 열려 있는 open VS 닫혀 있는 close +d!

close라는 단어는 라틴어 어원을 가지고 있어요 라틴어 claudere에서 왔는데 이 단어의 그림은 shut, close, block up - 뭔가를 사용해서 막는다는 것입니다. 즉 막히지 않은 상태가 open이고 이걸 굳이 막은 상태가 close+d입니다. 왜 close 가 아닐까? 이건 상태가 아니라 동사죠? close라고 하면 무언가가 어떤 대상을 close 하는 그림으로 그려져야 합니다. 즉 "힘의 개입" 이 들어간다는 것이죠! 타동사를 사용한다는 것은 주체와 대상의 관계가 이루어짐을 말하는데 대개는 힘의 작용이죠! Could you lift the box for me? 이런 문장을 생각해 봤을 때 니가 힘을 들여서 그 상자를 옮기는 것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면서 제가 말을 하는 거겠죠? 다소 정중하게! 이렇게 힘이 들어가서 인위적으로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close는 동사입니다! 그리고 closed는 그 동사의 결과물이고요!
처음에 제가 능동태와 수동태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라고 했는데 능동태라고 할 때는 주어가 곧 힘의 방향입니다. 그래서 주어 -> 대상으로 힘이 이동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데, 수동태라고 할 때는 그 동작이 이미 끝나서 결과만 남은 상태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힘의 작용을 직접 볼 수 없고, 결과물을 보면서 힘의 방향을 역추적해야 합니다. 그래서 수동태 어순이 대상 + be + p.p + by + 주체 (힘의 방향) 인 거예요.
여기에서 by는 어떤 의미인가? by는 around 란 의미입니다. ~에 의해서 처럼 힘의 작용을 나타내는 기능은 없습니다! 그저 그 힘을 보면서 이것도 같이 봐달라! 그런 의미로 덧붙이는 그림이에요!
예문을 한번 만들어 보면
The door is closed by her
그 문은 그녀에 의해 닫혀 있다
=> 그 문이 현재 닫힌 거 보이지? 그녀가 그런 거야!
이렇게 닫힌 문 + 그녀 의 그림을 동시에 제시해 주는 것이 바로 저 문장입니다. by에 굳이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어요! 이 전치사 by에 대해서는 제가 찐하게 설명을 했었는데
여기에서 저는 by = 2 = 사람인 人 이렇게 정의를 했지만, 이건 이해하기 쉬우라고 제가 그림을 만들어드린 것이고 by = 2 = around로 끝입니다. 나머지는 인간이 거기에 힘의 관계를 부여하는 거예요. 저도 그런 힘의 관계를 이용해서 설명을 드렸었고요 (희귀 자료입니다 아마 검색 안 될..)
세상이 만들어질 때 그저 하늘과 땅이 있었습니다.라는 건 모두 열린 공간이었어요. 그러나 인간이 살면서 의식주 특히 집이 필요해졌죠? 집은 어떻게 만들죠? 열린 공간을 닫아서 만듭니다! 닫히게 해서 만듭니다. 이런 자연스러운 상태 : 열린 <-> 힘의 개입이 만들어내는 상태 : 닫힌 을 똑같이 볼 수는 없었던 것입니다. 물론 과거분사도 형용사적 역할을 하지만 힘의 개입이라는 걸 안고 있잖아요? 이런 디테일한 부분까지 영어는 세세하게 설명을 해주기 위해서 노력을 합니다.
자연스러운 상태 : open -> 인위적인 상태로 만들다 : close -> 인위적인 상태가 되다 : closed -> 다시 자연스러운 상태로 만들다 : open -> 다시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다 : opened
인간이 눈으로 보고 경험한 그 순간순간을 성실하게 다르게 표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영어의 특징입니다. open 과 opened를 보면서 이전 그림도 같이 그려라!라고 말해주는 거거든요. close 와 closed를 보면서 힘의 개입에 의해서 발생한 사건임을 나타내주고 있는 거거든요.
우리말 같은 경우는 열다가 기본이고 피동형이 열리다입니다. 닫다 가 기본이고 피동형이 닫히다입니다. 원래 열린 상태라는 걸 느껴볼 수가 없어요! 영어가 이게 좀 특이해요. 어떤 그림에서 시작했고 어떻게 발전되었는가를 전하기 위해서 굉장히 노력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open 은 라틴어가 아니니까 라틴어로 open의 의미는 무엇인가? 형용사형으로는 apertus이고 동사형으로는 aperire인데, apertus의 그림은 open, uncovered, unclosed입니다. 즉 자연 상태 그대로 있다가, 덮었던 것을 닫았던 것을 다시 해지하여 그 상태로 돌아오는 것까지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시 돌아오게 하는 동사가 aperire 가 되는 거고요
왜 열려 있는 은 open인데, 닫혀 있는 은 closed 일까? 복잡하게.. 그냥 형용사 하나로 만들지...라는 건 원어민들에게 용납이 될 수 없었던 거죠! 그림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는가? 원래 어떤 상태에서 시작했는지 전해주고 싶었던 게 아니었는가.. 저는 눈물이 나더라고요. 이렇게까지 그림에 신경을 써서 힘의 작용이 어떻게 들어가는가를 설명해 주려고 하는 언어이다. 라고 생각하니까 정말 좀 감동적이었습니다.
읽고 계신 분들께도 이 감동이 전해지기를....
초등 영어문법 영어 수동태 능동태 능동 수동 열려 있는 open VS 닫혀 있는 close +d!

오늘 주제는 초등 영어문법 영어 수동태 능동태 능동 수동 열려 있는 open VS 닫혀 있는 close +d! 이었는데요
언어는 그림입니다라고 얘기하면서 제가 처음 제시하고팠던 그림이 바로 open VS closed였어요. 이 차이를 알게 되면 영어를 좋아하시게 될 것 같다. 그래서 라틴어도 보고 다른 어원도 보면서 저 그림을 그린 거였거든요? 한 번도 포스팅해 본 적 없는 정말 제가 아꼈던 그런 그림입니다. 보여드릴 수 있어서 기뻤고요. 이런 단어 추적이 제 머릿속에 약 10,000 개 정도 있습니다. 누가 보면 정말 시간 낭비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원어민들이 우리에게 정하고 싶었던 것들이라고 제가 생각하는 것들을 열심히 전해볼게요. 도움이 좀 되었을까요? 영어연구가 레미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쓰고 있는 동안 행복했고요. 색 강조는 저 보라색 부분으로 끝입니다. 저게 포인트예요. 저것만 이해해 주시면 저는 너무 행복할 것 같습니다. 이걸 전하는 게 제 사명이 아닌가 생각을 했어요. 비록 밥값도 하지 못하고 있지만 이 얘기를 할 때 저는 정말 행복해지는 것 같습니다.
'프리미엄 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분사 문장! 왜 I'm going 이 아니라 I'm coming 이라고 할까? (+ go, come) (1) | 2025.07.03 |
---|---|
train! 영어 명사 기차와 동사 훈련하다 공통분모는? (0) | 2025.07.03 |
영어문법 용어 구동사 뜻 throw a party! 왜 throw 쓰는지 고민해 보신 분? (0) | 2025.07.02 |
중학교 영어단어 3인칭 대명사 장소 지시대명사의 교집합 구하기!! (+ 영어대명사) (1) | 2025.07.01 |
예쁜 영어숙어 When it comes to 에서 it ? 전치사 to, 영어 전치사 종류 about, on 과의 차이! (+영어문법책 추천) (4) | 2025.07.01 |